
“사람들이 왜 그 사람을 나르시시스트라고 부르는지, 이제야 알 것 같습니다.”
처음에는 잘 몰랐습니다. 오히려 그 사람, 똑똑하고 매력 있었고, 대화도 잘 통했거든요.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뭔가 이상하다는 느낌이 들기 시작했습니다.
이상하게도, 제가 늘 죄송하다고 말하게 되더라고요.
그리고 그 사람은 단 한 번도 자신이 잘못했다고 말한 적이 없었습니다.
[1부 – 나르시시스트는 어떤 사람인가요?
나르시시스트는 자신이 특별하다고 믿고, 타인을 수단처럼 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겉으로는 자신감 넘쳐 보이지만, 사실은 아주 불안정한 자존감을 가진 사람들이에요.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는 순간, 마치 자신의 존재가 부정당하는 것처럼 느끼기 때문에
절대 ‘내가 잘못했다’는 말을 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상황을 왜곡하거나, 상대방 탓으로 돌리죠.
“그건 네 해석이잖아.”
“그건 네가 예민해서 그런 거야.”
이런 말들로 상대방을 혼란스럽게 만들고, 감정을 부정합니다.
[2부 – 왜 나르시시스트는 절대 반성하지 않을까요?
심리학적으로 나르시시스트는 자기애 성격장애의 특성을 보입니다.
자기애가 강한 게 아니라, 내면이 너무나도 불안정하기 때문에
‘완벽한 자아상’을 계속 유지하려고 애쓰는 것이죠.
그 완벽한 자아상에는 ‘잘못한 나’, ‘부끄러운 나’는 들어갈 수 없습니다.
그래서 실수를 해도, 그것을 인정하는 순간 자기 이미지가 무너진다고 느끼고
반성하지 않고, 책임을 피하게 됩니다.
문제가 생기면 ‘네가 오해한 거야’, ‘그땐 어쩔 수 없었잖아’처럼 말하며
자신을 방어합니다. 그리고 시간이 지날수록, 이 왜곡된 세계 속에 상대방이 갇히게 되죠.
[3부 – 증거를 내밀어도 통하지 않는 이유
우리는 이성과 논리로 설득하려고 합니다.
“이거 네가 이렇게 말한 거잖아.”
“이 메시지, 네가 보낸 거잖아.”
하지만 나르시시스트는 절대 인정하지 않습니다.
“그건 그때 상황이 달랐잖아.”
“그런 의도가 아니었어.”
“넌 항상 나만 탓하잖아.”
그들은 논점을 흐리고, 감정적으로 흔들어 상대방이 지치게 만듭니다.
결국 우리는 더 큰 혼란에 빠지게 되죠.
증거로 진실을 밝히는 게 아니라, 오히려 ‘너무 집착하는 사람’처럼 보이게 되니까요.
[4부 – 나르시시스트와의 관계가 남기는 상처
나르시시스트와의 관계에서 가장 큰 문제는
그 사람은 아무 일 없다는 듯 지내는데,
피해자는 오래도록 감정의 잔해 속에 남는다는 점입니다.
내가 예민한가?
내가 너무 과민반응했나?
내가 잘못한 걸까?
이런 자책이 반복되면서 자기 신뢰가 무너지고,
결국 ‘그 사람의 인정’이 절실해집니다.
이건 사랑이 아니라, 심리적 중독입니다.
그 사람의 인정 한 마디가 내 가치를 결정하게 되니까요.
[5부 – 나르시시스트를 이기는 유일한 방법
많은 분들이 나르시시스트를 이기기 위해 ‘증거’를 모읍니다.
하지만 진짜 이기는 방법은 설득하지 않는 것입니다.
그 사람에게 ‘내가 얼마나 상처받았는지’를 설명하지 마세요.
그들은 공감하지 않습니다.
‘정면승부’는 오히려 우리를 더 상처받게 만들 뿐입니다.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거리두기입니다.
심리적인 거리, 감정적인 거리, 물리적인 거리까지.
‘이 사람은 나를 이해할 수 없는 사람’이라고 받아들이는 것.
그게 진짜 회복의 시작입니다.
[6부 – 나르시시스트에게서 벗어난 후 해야 할 일
이제, 나르시시스트로부터 벗어났다면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일은 나 자신을 다시 회복하는 일입니다.
그 사람에게 인정받고 싶었던 마음을 내려놓고,
“나는 충분히 괜찮은 사람이야.”라고 말해주는 것.
그리고 다시는 그런 사람에게 내 감정과 가치를 맡기지 않겠다고 다짐하는 것.
좋은 관계는 서로를 지지하고, 성장하게 만듭니다.
만약 어떤 관계가 계속 나를 무너뜨리고, 혼란스럽게 만든다면
그건 사랑이 아닙니다. 그건 착취입니다.
나르시시스트는 절대 반성하지 않습니다.
그들은 자신의 잘못을 ‘고의가 아니었으니까 잘못도 아니다’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증거를 내밀어도, 말을 해도, 울어도…
그 사람의 태도는 바뀌지 않습니다.
그때 우리가 할 수 있는 건 단 하나.
그 사람을 바꾸려고 하지 않는 것입니다.
대신, 나를 지키고, 나의 세계를 다시 단단하게 만들어야 합니다.
여러분은 이미 충분히 잘 해왔습니다.
이제는, 여러분 자신을 지켜주는 사람이 되어주세요.
'심리학. 나르시스트. 나르시시스트.나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르시스트 부모에게 경제적·감정적으로 착취당한 자녀가 자신을 치유하는 과정.착한사람 증후군 벗어나기. (0) | 2025.04.01 |
---|---|
나르시시스트와 법적으로 싸워야 할 때, 감정적으로 나를 지키는 방법 (0) | 2025.04.01 |
싸우는데 나르시스트가 우는 이유는? (0) | 2025.04.01 |
나르시시스트를 이기는 가장 조용한 전략 – 회색 돌기법 (0) | 2025.04.01 |
나르시시스트는 왜 반성하지 않는가, 나르시스트를 이기는 방법 (0) | 2025.04.01 |